본문 바로가기
글/세상

한국 벼 품종 개량? 벼는 중요한 LMO 실험식물이죠😏

by blank_in2 2023. 10. 14.

출처. LMO정보시스템 홈페이지 _ 시험·연구용_유전자변형식물_연구시설_안전관리_가이드라인(발간자료)

 

유전자변형생물체(Living Modified Organism, LMO)는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체를 뜻합니다.

 

그중 시험이나 연구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연구시설에서 이용되는 유전자변형생물체를 '시험·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라 하며 그중에는 대표적으로 '마우스'도 있고 '형광 물고기'도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논란이 있었던 '주키니 호박'도 LMO의 한 종류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유전자변형식물은 크게 '유전자변형식물', '식물과 관련된 유전자변형미생물', '식물과 관련된 유전자변형절지동물 및 절지동물의 미생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보통 환경위해성이 없고 잡초화 가능성이 없으면 1등급 연구시설에서 관리되지만, 유출 시 환경이나 생태계에 심각한 위해를 가할 가능성이 있을 때에는 3등급 이상 연구시설에서 관리하게 됩니다.

※1, 2등급 연구시설은 신고, 3등급 이상은 허가를 받아야합니다. 

 

2023.08.28 - [글/세상] -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를 위해, 연구시설 '신고' 어디까지 알아봤니?!😜

 

시험·연구용 LMO 안전관리를 위해, 연구시설 '신고' 어디까지 알아봤니?!😜

시험·연구용 LMO와 관련하여, 원하는 개발 또는 실험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연구시설 '구축'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신고'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 여기서 말하는 연구시설은 LMO를 개

blank-in2.tistory.com

 

게다가 유전자변형식물 연구시설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밀폐'가 정말 중요한데요. 일반연구시설 밀폐 수준에 준하는 설비가 필요합니다.

※ 연구시설 밀폐란?

 1) 일차밀폐(Primary containment): 식물 유래분(화분, 알레르긴 등) 및 병원체로부터 사람과 연구시설 내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인 보호구 착용, 생물안전작업대(BSC) 사용이 그 예이다.

 2) 이차밀폐(Secondary containment): 시설 내부에서 생육하는 식물 또는 식물 병원체 등이 외부 화경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온실벽(벽체) 설치, 전실을 통한 이중 출입, 창문 방충망 설치 등이 있다.

출처. LMO정보시스템 홈페이지 _ 시험·연구용_유전자변형식물_연구시설_안전관리_가이드라인(발간자료)

 

국내에서 주로 활용되는 유전자변형식물에는 '잔디', '벼', '토마토' 등이 있습니다.

그중 '벼'는 조금 익숙한 대상이 아닐까 합니다. 한번씩 '종자개량 성공', '우수 품종으로 선발' 등의 기사가 나오곤 하니까요.

 

좋은 종자가 더 풍성한 수확을 가져와 식량을 양적 증가를 가져다주고, 또 맛의 경쟁력을 보장하니 종자 개량기술 개발이 농업 분야에선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유전자변형식물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 '품종개량', '질병연구', '분자육종' 등

 

대표적으로 미국의 농학자이며 식물병리학자인 '노먼 볼로그'는 세계적인 식량 증산에 기여하여 녹색 혁명을 이끈 공로로 1970년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습니다. 엄청나죠?

 

한국은 1960년 대 이후 '벼 품종 개량'을 시작하여 1968년 IRRI(국제 쌀 연구소)와 기술협력 체결하는 등 수확량이 높고 병충해에 잘 견디는 신품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시대별 벼 품종개발 목표 (출처. 우리나라 벼 품종개발 변천사 및 성과 / 한국육종학회지)

 

이러한 유전자변형식물(LMO) 연구가 있었기에 지금의 맛있는 쌀밥을 먹을 수 있는 게 아닌가 합니다. 😊

 

P.S) 유전자변형식물 섭취와 관련하여 안전성, 위해성에 대한 우려는 항상 나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올해 4월 승인되지 않은 유전자 변형 생물체(LMO) 검출로 '주키니 호박'이 큰 논란이 되기도 했습니다. 

 

종을 넘나드는 유전자변형의 과정에서 유전자 간의 예측 불가능한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LMO 식품에 관해서는 '안전성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이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